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일해 전세계 유행 ~! 백일해 증상, 예방방법, 치료방법 알아보기

by 방랑경제투어 2024. 6. 8.

올해는 백일해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상황인데요, 질병관리청은 올해 백일해 환자가 1,365명(24.6.1. 기준)으로, 최근 유행한 2018년 연간 환자수인 980명를 넘어, 빠른 증가세라고 밝힌 상황에서 증상과 예방방법,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목록

백일해 유행

현재 백일해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가운데, 국내 환자 발생 현황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백일해 유행
질병관리청 자료 참조

백일해

  1. 연령대별로는 13-19세가 49.6%, 677명, 7~12세가 37.5%, 512명으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의 87.1%, 1,189명을 차지하고 있어요.
  2. 지역별로는 교육시설에서 집단 발생이 보고되고 있는 경상남도 543명, 39.8%, 경기도 239명, 17.4%, 부산시 109명, 8.0%, 경상북도 90명, 6.6% 순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어요.

 

미국에서는 5월 25일 기준 4,864명이 발생하여 2023년 동 기간 1,746명 대비 약 2.8배가 증가하였고, 필리핀은 올해 4.27일 기준 2,521명이 발생하고 96명이 사망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중국에서도 4월에 91,272명이 발생하여 전월인 3월 27,078명 대비 약 3.4배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2024년 누적 사망자가 20명으로 집계되는 등 심각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백일해의 자세한 증상과 예방방법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일해 란?

백일해는 보르데텔라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이 병은 주로 기침을 통해 전염되며,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매우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백일해 잠복기
질병관리청 참조

백일해라는 이름은 이 병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인 심한 기침이 최소 100일(3개월 이상) 동안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바실러스 군에 속하는 Bordetella pertussis 세균은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작은 물방울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특히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쉽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일해는 바이러스 질환이 아니라 세균에 의한 질병이라는 점이 중요한 차이점입니다.

백일해 증상

백일해는 특히 영유아 및  소아 청소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증상은 대체로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백일해 증상

1단계:

  • 초기 단계(카타르 단계) 시작: 최초 증상은 보통 감기와 유사합니다. 콧물, 가벼운 기침, 재채기, 그리고 약간의 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간: 이 단계는 대략 1-2주 정도 지속됩니다.

2단계:

  • 진행 단계(발작성 단계) 특징: 이 단계에서는 심한 기침 발작이 특징적입니다. 기침이 격렬해지고, 발작 후 깊은숨을 들이쉴 때 '후프(hoop)'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기침은 주로 밤에 더 심해집니다.
  • 기간: 이 단계는 1-10주 또는 그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3단계:

  • 회복 단계(회복 단계) 진행: 보통은 회복단계에 접어듭니다. 기침 발작의 빈도와 강도가 서서히 줄어듭니다.
  • 기간: 이 단계는 몇 달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심해지면 다음과 같은 질병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1. 호흡곤란 및 청색증: 심한 기침 발작으로 인해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영아에서 더욱 위험합니다. 호흡곤란으로 인해 피부나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구토: 기침 발작 후 구토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식사 후에 특히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수면 장애: 심한 기침으로 인해 밤에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탈수: 구토와 식욕 부진으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체중 감소 및 식욕 부진: 심한 기침과 구토로 인해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어 체중 감소와 식욕 부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6. 합병증: 증상이 심해지면 폐렴, 중이염, 뇌염, 뇌출혈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아에서는 호흡 정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백일해는 주로 공기 중의 미세한 침방울을 통해 전파되므로, 환자와의 밀접한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일해 치료방법

치료는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면 증상을 완화시키고, 감염 확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습니다.

백일해 치료방법

1. 항생제 치료

  • 초기 단계에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항생제는 Bordetella pertussis 박테리아의 활동을 억제하고,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로는 아지스로마이신, 에리스로마이신, 클라리스로마이신 등이 있습니다.
  • 항생제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용량과 치료 기간을 준수하여 복용해야 합니다.

2. 증상 완화

  • 기침 완화: 가습기 사용, 충분한 수분 섭취, 기침 억제제 복용 등을 통해 기침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영양 섭취: 기침 발작으로 인한 구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작은 끼니를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섭취하세요.
  • 충분한 휴식: 회복을 위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감염 확산 방지

  • 격리: 백일해 환자는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후 최소 5일간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 위생 관리: 손을 자주 씻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소매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일해 예방방법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백신 접종입니다.

 

우리나라는 백일해 예방접종률이 1세 97.3%, 초등학교 입학생 96.8% 수준으로 주요 선진국 보다 높아,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인 1세 미만의 감염 사례가 적고, 최근 10년간 사망사례도 보고되지 않았어요.

 

또한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당분간 유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라면서,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1세 미만 영아(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 대상의 적기 접종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후에도 15-18개월, 4-6세, 11-12세의 추가 접종(4~6차)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백일해 예방접종 일정

백일해 예방접종
질병관리청 자료 참조

예방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백일해 예방수칙

 

1. 백신 접종

  1. DTaP 백신: 유아기에 접종하는 백신으로, 디프테리아, 파상풍, Bordetella pertussis (무세포)를 예방합니다. 일반적으로 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 15, 18개월, 그리고 46세에 접종합니다.
  2. Tdap 백신: 청소년 및 성인을 위한 백신으로, 디프테리아, 파상풍, Bordetella pertussis(무세포)를 예방합니다. 11~12세에 한 번 접종하고, 이후 매 10년마다 추가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3. 임산부 접종: 임신 중인 여성은 임신 27~36주 사이에 Tdap 백신을 접종받도록 권장됩니다. 이는 신생아가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2. 개인위생

  1. 실천 손 씻기: 손을 자주 씻는 것은 박테리아의 전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누와 물을 사용하여 최소 20초 동안 손을 꼼꼼히 씻어야 합니다.
  2. 기침 예절: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나 팔꿈치 안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 합니다. 이는 박테리아가 공기 중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3. 환자와의 접촉 피하기

  1. 환자 격리: 감염된 사람은 치료가 시작된 후 최소 5일간은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2. 4. 환경 조절 공기 중 가습: 건조한 공기는 기도를 자극하여 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백일해 예방을 위해서는 위의 조치들을 철저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백신 접종은 예방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방법입니다. 이외의 기타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질병관리청을 참조하여 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