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양자 컴퓨터 주식 투자 전략 : 초전도 vs 이온트랩, 어디에 베팅할 것인가?

by 방랑경제투어 2025. 2. 21.

양자 컴퓨터 열풍이 주식 투자 시장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의 'KOSEF 미국양자컴퓨팅' ETF가 상장 첫날 5분 만에 완판 될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죠.

 

오늘은 양자컴퓨터 개발의 두 가지 핵심 기술과 투자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문에 앞서 양자컴퓨터 관련주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양자 컴퓨터 초전도 방식 이온트랩 방식

양자 컴퓨터 주요 기업 개발 현황

퀀텀 컴퓨팅의 선두주자들은 놀라운 속도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 IBM
    • 127 큐비트 프로세서 상용화
    • 2025년 4,000 큐비트 목표
    • 현재 주가: $190대 형성
    • 전망: 양자컴퓨터 사업 성장에 따른 상승 여력 충분
  • 구글(Alphabet)
    • 양자우위 달성 입증
    • AI-양자컴퓨터 융합 연구
    • 현재 주가: $140대 후반
    • 전망: 장기적 성장 잠재력 높음
  • IonQ
    • 32큐비트 이온트랩 시스템 운영
    • AWS, Azure 플랫폼 통합
    • 현재 주가: $10대 중반
    • 전망: 기술력 입증 시 급격한 상승 가능성
그렇다면 이러한 기업들의 양자 컴퓨팅 기술들이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유튜브 안될공학 님께서 쉽게 설명하신 콘텐츠가 있어서, 이 콘텐츠를 참고하여 주세요.

 

 

초전도 방식: 빅테크의 선택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하는 초전도 방식은 전기 회로로 큐비트를 구현합니다. 이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양자 비트를 구현합니다.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물질로, 이를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에너지를 잃지 않고 양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높은 확장성 (기존 반도체 공정 활용 가능):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할 수 있어 대규모 양자 컴퓨터 구축이 용이합니다.
    • 빠른 게이트 조작 속도: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조작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작업이 가능합니다.
    • 대규모 큐비트 구현 가능
  • 단점
    • 극저온(-273.15℃) 환경 필요
    • 대형 냉각기 필수
    • 외부 잡음에 쉬운 노출로 인한 상대적으로 높은 오류 발생률

이온트랩 방식: 상용화의 선두주자

아이온큐와 허니웰이 주도하는 이온트랩 방식은 전자기장으로 이온을 가두어 큐비트를 구현합니다.

 

이온트랩 방식은 전하를 띤 이온을 전자기장으로 잡아두고, 레이저를 이용해 이온의 양자 상태를 조작합니다. 이온은 매우 안정적이며,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격리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낮은 오류 발생률
    • 상온 작동 가능
    • 빠른 상용화 가능성
  • 단점
    • 느린 조작 속도
    • 제한된 확장성
    • 이온 수 제한의 한계

양자 컴퓨터 주식 투자 전략 : 엔비디아의 양자 플랫폼 주목?

여기서 주목할 만한 기업이 바로 엔비디아인데요, 엔비디아는 양쪽 진영 모두와 협력하며 'CUDA-Q' 플랫폼을 통해 양자컴퓨터 개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양자 시뮬레이터 제공
  • 양자 가속 슈퍼컴퓨팅 서비스
  • 노이즈 최소화 설계 분석 지원
  • 구글, 아이온큐와 협업 진행 중

양자 컴퓨터는 미래 컴퓨팅 시장을 혁신할 게임체인저입니다.

 

현재는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장기적 관점의 투자가 필요해 보입니다.

 

다만, 아직 기술 개발 단계인 만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며, 분산 투자와 함께 주요 기업들의 기술 개발 현황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퀀텀 컴퓨팅 시장의 새로운 소식과 투자 기회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수익투자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