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완벽 분석 (2025년 1분기)

by 방랑경제투어 2025. 4. 25.

한화솔루션 2025년 1분기 실적이 발표되었는데요, 대략적인 한줄평을 하면 “한화솔루션, 태양광 성장세 타고 실적 반등!”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어제 2025년 1분기(1 Q25) 한화솔루션의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직전 분기였던 2024년 4분기(4 Q24)와 비교해 보면, 전체 매출은 줄었지만 수익성은 개선되었고, 핵심 사업 부문인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서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났습니다.

 

과연 어떤 부문이 실적을 끌어올렸고, 어떤 부문이 아쉬웠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선 공식 IR 자료 기반으로 각 제품군의 실적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에 대한 분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주세요.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 2025(트럼프 수혜)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1. 한화솔루션 실적 요약(2025 1분기)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자료
항목 25년 1분기 24년 4분기 QoQ 변화
매출액 30,945억 원 46,429억 원 -33.3% 📉
영업이익 303억 원 1,070억 원 -71.7% 📉
영업이익률 1.0% 2.3% -1.3%p
당기순이익 -302억 원 -2,036억 원 적자 축소 (+85.2%) ✅

✔ 총매출은 줄었지만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턴어라운드로 영업흑자를 기록
✔ 당기순손실도 대폭 줄이며 손익 구조 개선

 

실적발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실적발표 탭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2. 신재생에너지 부문: 실적 반등의 일등공신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신재생에너지 실적
항목 2025 1분기 실적
매출 15,992억 원
영업이익 1,362억 원
영업이익률 8.5% ✅

📈 전 분기 대비 영업이익 756억 원 증가 (QoQ +125%)
📌 주요 요인:

  • 미국 IRA 세액 공제 반영(1,839억 원)
  • 일회성 비용 종료 → 기저 효과
  • 주택용 에너지 사업의 수익성 확대

주요 수출 지역인 미국 시장에서 고율 관세 정책 덕분에 한화큐셀이 반사이익을 본 것이 결정적입니다.

 

3. 케미칼 부문: 정기보수로 적자 지속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케미칼 부문 실적
항목 2025 1분기 실적
매출 10,736억 원
영업이익 -912억 원 ❌
영업이익률 -8.5%

📉 4분기 대비 영업이익 370억 원 감소
📌 주요 요인:

  • 대규모 정기보수 반영
  • PVC·TDI 등 주력 제품의 가격 약세
  • 글로벌 수요 부진 + 中 공급 과잉 지속

한화솔루션은 LDPE, PVC, TDI, 가성소다 등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지만, 시장 여건이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4. 첨단소재 부문: 아직은 버티는 중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첨단소재 실적

매출 2,738억 원
영업이익 -18억 원
영업이익률 -0.7%

📉 전분기 대비 적자 소폭 개선
📌 주요 요인:

  • 태양광 소재 신공장 가동률 상승효과
  • 전기차 소재 원가 부담 지속

고객사 수요 회복과 함께 중장기 성장 기대는 있지만, 아직은 뚜렷한 실적 개선이 어렵습니다.

 

 

5. 2025년 1분기 한화솔루션 ‘지분법 손익’ 분석

🧩 지분법 손익이란?

지분법 손익은 '기업이 지분을 보유한 다른 회사(관계회사)'의 순이익(또는 손실) 중 지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반영하는 회계 처리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 한화솔루션이 한화오션의 지분을 30%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 해당 분기 한화오션이 1,000억 원 순이익을 냈다면
  • 한화솔루션은 1,000억 × 30% = 300억 원을 지분법 이익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이 수치는 실제로 회사에 현금 유입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재무제표상 수익 또는 손실로 잡히며 당기순이익에 큰 영향을 줍니다.


📈 2025년 1분기 지분법 손익 분석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지분법 손익 분석

 

분기 손익 OoQ 변화 주요 원인
4Q24 -1,252억 원 (손실) 한화오션 주가 하락, 화학제품 부진
1Q25 +1,346억 원 (흑자) +2,598억 원 (흑자 전환) 한화오션 주가 상승 + 화학제품 시황 개선

🔹 흑자 전환 주요 기여자:

  • 한화임팩트/토탈에너지스: +2,064억 원
  • YNCC: -304억 원 (여전히 적자지만 감소)
  • 기타: -414억 원

➡️ 전 분기까지 누적된 적자를 단번에 상쇄할 만큼, 지분법 이익이 크게 반등했습니다.


📌 왜 흑자 전환이 중요한가?

 

지분법 손익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에 직접 영향을 주는 항목입니다.
2025년 1분기 한화솔루션의 당기순손실이 -302억 원으로 줄어든 것도 이 지분법 이익의 역할이 컸기 때문입니다.


2025년 2분기 전망

  • 화학제품 시황 개선은 이어지지만,
  • 한화오션 주가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어
  • 지분법 손익 규모는 다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됩니다.

💬 요약하면:

“2분기에도 실적은 유지되겠지만, 1분기처럼 ‘드라마틱한 흑자 전환’은 어려울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투자자 관점 포인트

  • 지분법 손익은 현금흐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주가나 실적에 심리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회계 요소입니다.
  • 한화오션, YNCC 등 계열사들의 실적 및 주가 흐름
    한화솔루션 전체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합니다.

6. 전체 실적 요약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구분 24년 4분기 25년 1분기 QoQ 변화
매출액 46,429 30,945 -33.3% 📉
영업이익 1,070 303 -71.7% 📉
지분법손익 -1,243 1,346 흑자전환 ✅
세전이익 -3,579 -681 +81.0% 개선 ✅
당기순이익 -2,036 -302 +85.2% 개선 ✅

👉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기 대비 감소했지만, 순손실 폭은 대폭 축소되어 실질적인 체력 회복세를 보여줬습니다.

체크포인트 평가
태양광 성장성 매우 긍정적 ✅
케미칼 회복 가능성 제한적 ❗
지분법 기여도 매우 큼 ✅
단기 부채 부담 있음 ❗ (순차입금 11.7조 원)
구조적 성장 잠재력 존재 (특히 에너지 사업)

7. 주요 제품 가격동향

한화솔루션 실적발표
2023~2025 한화솔루션 주요제품 가격동향

 

📌 1. LDPE & LLDPE (폴리에틸렌 계열)

  • 단위: USD/MT
  • 용도: 포장재, 필름, 케이블 피복 등
분기LDPELLDPE
1Q23 1,077 994
1Q25 1,125 931

🔹 LDPE는 전반적으로 반등세 유지 (저점: 4 Q23 916 → 1 Q25 1,125)
🔹 LLDPE는 소폭 하락세 유지 (994 → 931)

시황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LLDPE 쪽은 수요 부진이 반영되어 하락세 지속
➡️ 케미칼 부문 실적에 약간의 완화 효과를 주지만, 근본적인 수요 개선은 부족한 상황


📌 2. PVC & Caustic Soda (염소계 원료)

  • 단위: USD/MT
  • 용도: 건축자재, 파이프, 플라스틱, 화학 중간재
분기 PVC Caustic Soda
1Q23 878 468
1Q25 719 475

🔻 PVC: 1Q23 고점(878) → 지속 하락세 → 1Q25(719)
🔺 가성소다: 3Q23 저점(352) 이후 점진적 반등 → 1Q25(475)

PVC 가격 급락은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의 영업손실 주요 원인 중 하나
✅ 가성소다는 회복세지만, 케미칼 전체 수익성 커버에는 제한적


📌 3. T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 단위: USD/MT
  • 용도: 폴리우레탄 원료 (자동차 내장재, 가전, 건축자재 등)
분기 가격
1Q23 2,510
1Q25 1,780

📉 폭락 수준의 하락세 (약 30% 감소)

  • 글로벌 공급 과잉 + 수요 둔화 영향
  • 1Q24~1Q25 사이에도 반등 없이 하락 지속

➡️ TDI는 케미칼 수익성에 직접적인 타격 요소
➡️ 현재 가격 수준은 수익성 한계점 근접 가능성


📌 4. 태양광 부품: Wafer(M10) & Module(M10, Monofacial)

  • 단위: USD/W
  • 용도: 태양광 셀 및 모듈의 핵심 부품

 

분기 Wafer Module
1Q23 0.09 0.23
1Q25 0.02 0.08

📉 2년간 지속적 가격 하락, 특히 2023년 하반기 이후 급락

  • 중국 저가 제품 공급 과잉
  • 수요는 유지되지만 가격경쟁 심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화솔루션의 태양광 부문 수익성이 개선된 이유는?
✅ 미국 IRA 세액 공제 효과 (1Q25 기준 1,839억 원)
✅ 고부가 모듈 판매 + 주택용 에너지 시스템 수익성 향상

 


정리: 제품 가격 흐름이 실적에 미친 영향

제품군 가격 추이 실적 영향 요약
LDPE, LLDPE 완만한 반등 / 정체 케미칼 부문 하락세 완화 요인
PVC 지속 하락 케미칼 부문 적자 심화 요인
TDI 급격한 하락 케미칼 적자 주요 원인
Caustic Soda 반등세 일부 수익성 방어
태양광 Wafer & Module 지속 하락 수익성 우려 요소이나, IRA 세제 혜택 및 제품 믹스 전략으로 실적 방어
  • 케미칼 부문: 제품 가격 반등 없이 실적 반전 어려움
  • 태양광 부문: 가격 하락에도 정책 수혜 + 고부가 제품 전략이 유효
  • 2Q25 이후: PVC, TDI 가격 반등 여부가 핵심 변수

투자자 관점 핵심 포인트

✅ 긍정 요인

  • 태양광 중심의 실적 반등 가시화
  • IRA 법 수혜 지속 → 美 현지 생산 확대 전략 유효
  • 2분기 태양광 모듈 판가 상승 예상

❗ 리스크 요인

  • 케미칼 부문 적자 구조 장기화
  • 중국發 수급불균형 지속
  • 고금리 환경 지속 시 부채부담 증가 (1Q25 기준 순차입금 11.7조 원)

자주 묻는 질문(FAQ)

Q. 한화솔루션은 앞으로 실적이 계속 개선될까요?
A. 태양광 부문은 지속 개선이 예상되며, 2분기 이후 케미칼의 기저 효과도 기대됩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회복은 미국 정책과 유가 흐름에 따라 좌우될 수 있습니다.

 

Q. 케미칼 부문은 왜 계속 적자인가요?
A. PVC, TDI 등의 제품 단가 하락과 정기보수로 인한 비용 부담 때문입니다. 수급 조절과 국제 수요 회복 없이는 흑자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

투자 시 주의 사항

  • 케미칼 부문의 구조적 적자는 회사 전체의 발목을 잡을 수 있음
  • 미국 정책(IRA 유지 여부) 변화에 따른 리스크 존재
  • 10조 원 이상 순차입금으로 인한 이자 부담 → 수익성에 영향

마무리 요약

핵심키워드 평가
태양광 실적 반등 ★★★★★
케미칼 부진 지속 ★★☆☆☆
재무 구조 ★★★☆☆
2분기 실적 기대 ★★★★☆

지금은 한화솔루션을 '관심 종목'으로 두고, 태양광 부문 실적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면서 기회를 노릴 때입니다.

 

본 글은 투자 유도를 위한 글이 아니므로, 투자자들은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내도를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 2025(트럼프 수혜)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이 다시 밝아졌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속 수혜 산업으로 거듭나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화그룹 자체가 현재 국제 정세에 대한 수혜를 받고

vagabond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