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LS일렉트릭 실적발표 (Ls electric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및 전망)

by 방랑경제투어 2025. 5. 20.
반응형

오늘은 전력·자동화 분야의 대표 주자, LS ELECTRIC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시장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전기차, 데이터센터, 친환경 에너지 말이 많던데… LS ELECTRIC은 어떻게 가고 있을까?”
궁금하셨던 분들, 오늘 이 포스팅으로 정리 끝내 보세요!

LS일렉트릭 실적발표
LS일렉트릭 실적발표

 

1. LS일렉트릭 실적발표 (2025년 1분기)

먼저 LS일렉트릭 실적발표가 있었는데요, 실적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2025년 1분기 실적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매출 1조 321억 원 -0.6% 감소 -24.1% 감소
영업이익 873억 원 -6.9% 감소 -27.2% 감소
순이익 674억 원 -15.5% 감소 +7.3% 상승

음... Ls electric 실적발표 요약을 하였을 때, 일단 수치는 약간 주춤한 모습이에요.

전 분기(2024년 4분기)가 워낙 좋았던 것도 있고, 일부 계절적 요인도 작용했겠죠.

하지만! 중요한 건 중장기 방향성과 수익 구조 개선이 확실히 보인다는 점이에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LS일렉트릭 웹사이트에서 해당 자료를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LS일렉트릭 실적 보기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고전반 및 배전반 (LS일렉트릭 웹사이트 참조)

2. Ls electric 실적발표 (부문별 실적)

📊 LS ELECTRIC 실적 요약 (2025년 1분기 사업부문별 실적)

구분 매출액 (억원) 전년 동기 대비
(YoY)
전 분기 대비
(QoQ)
영업이익
(억원)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전력 6,613 변화 없음 (0.0%) ▼ 12.3% 710 ▼ 6.1% ▼ 5.7%
자동화 6,142 ▲ 30.1% ▼ 14.7% 164 ▲ 1677% (흑자전환) ▼ 58.6%
자회사 769 ▼ 13.3% ▼ 1.8% 34 ▲ 3.1% ▼ 58.6%
합계 (연결) 10,321 ▼ 0.6% ▼ 24.1% 873 ▼ 6.9% ▼ 27.2%

"LS ELECTRIC 실적 좋다는데, 어디서 돈을 벌었을까?"
이런 궁금증, 이제 시원하게 풀어드릴게요.
LS ELECTRIC의 실적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나뉘어요:

  1. 전력사업부
  2. 자동화사업부
  3. 자회사 부문

 ① 전력사업: 역시 본업은 든든

매출액

  • 2025년 1분기: 6,613억 원
  • 전년 동기와 거의 동일 (YoY 0%)
  • 전 분기보단 살짝 줄었어요 (QoQ -12.3%)

영업이익

  • 710억 원 (YoY -6.1%, QoQ -5.7%)

주요 흐름 정리하면?

  • 초고압 변압기 & 배전반 매출은 여전히 강세
  • 하지만, 배전기기 국내 매출 이월(=지연 인식)로 일시적으로 이익 감소
  • 👉 2분기부터 회복 예상이라고 합니다!

특이 포인트!

  • 초고압 변압기 수주잔고:
    2024년 1분기 2.6조 → 2024년 말 3.4조 → 2025년 1분기 3.9조 원!
  • 북미 비중:
    2023년 1Q엔 13%였는데
    2025년 1Q엔 무려 **24%**까지 증가!!
    (수주 기준으로는 50% 이상이 북미예요!)

요약하자면:
“본업은 북미를 타고 날아오르는 중!”


② 자동화사업: 회복 신호

매출액

  • 2025년 1분기: 6,142억 원
  • 전년 동기 대비 +30.1%
  • 전 분기 대비는 살짝 감소 (-14.7%)

영업이익

  • 164억 원
  •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 (YoY +1677%)
  • 전 분기 대비로는 다소 감소했지만, 이익률이 눈에 띄게 개선됐어요

영업이익률 변화

  • 2024년 전체 평균: 0.2%
  • 👉 2025년 1분기: 4.4%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 고수익 고객 중심의 전략으로 수익성 회복
  • 중국 법인은 경기 영향으로 부진,
  • 반면 베트남 법인은 실적 호조
  • 국내는 -12%, 해외는 -16% YoY 감소지만,
    이익률 구조는 훨씬 좋아졌어요

③ 자회사 부문: 외형은 성장, 수익은 과제

매출액

  • 2025년 1분기: 769억 원
  • 전년 대비 -13.3%, 전 분기 대비 -1.8%

영업이익

  • 34억 원
  • 전년 대비 +3.1% 증가, 전 분기 대비는 ▼58.6% 감소

왜 그럴까?

  • 자회사 LS티라유텍, LS파워설루션 등의 연결 편입으로 외형은 커졌지만
  • **EV Chasm(전기차 시장의 일시 침체)**로 관련 사업은 아직 회복 중
  • 미국과 베트남 자회사는 실적 개선 중이에요!

🎯 부문별 총평

전력 북미 수출 증가 & 변압기 수주 강세로 든든한 캐시카우 역할 유지 중
자동화 고수익 중심 재편 + 흑자 전환! 구조적으로 좋아지는 흐름
자회사 외형은 커졌지만, 일부 시장 불안으로 실적 개선은 '진행 중'
다음 분기(2Q)부터는
  • 배전기기 이월분 반영
  • CAPA 확대 효과
  • 북미향 수주 실적 인식 본격화

등이 맞물리며 더 긍정적인 성과가 기대된다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변전소 시스템 (LS일렉트릭 웹사이트 참조)

3. 재무 현황

2025년 1분기 기준, LS ELECTRIC은 전반적으로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에 힘쓰고 있는 모습입니다.

  • 부채비율: 147%
  • 순차입금비율: 27%
  • 현금성 자산: 8,041억 원

수주가 늘면서 계약 자산도 증가했지만,
현금흐름이 건강하고 차입금 대비 자산이 안정적인 편이라 걱정은 적어요.

 

주요 특징 요약

  1. 총 자산 4.7조 원 돌파
    • 전년 동기 대비 +20%, 전 분기 대비 +4%
    • 수주 증가에 따른 계약자산 증가가 주요 요인
  2. 부채비율 상승 (147%)
    • 미지급 배당금수주에 따른 차입 증가로 부채 확대
    • 다만 현금흐름 및 순차입금비율은 안정적
  3. 순차입금비율 유지 (27%)
    • 보유 현금 및 유동자산 대비 차입 부담은 무난한 수준
  4. 현금 및 현금성 자산:
    • 8,041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
  5. 자본총계는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1.8조 원 수준

📌 재무상태표 요약

구분 2024년 1Q 2024년 4Q 2025년 1Q YoY 증감 QoQ 증감
총자산 38,949억 44,852억 46,581억 ▲ 7,632억 (+20%) ▲ 1,729억 (+4%)
유동자산 27,639억 30,522억 31,981억 ▲ 4,342억 ▲ 1,459억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6,616억 6,601억 8,041억 ▲ 1,425억 (+22%) ▲ 1,440억
부채총계 21,867억 25,951억 27,747억 ▲ 5,880억 (+27%) ▲ 1,796억
- 차입금(총) 9,115억 11,740억 13,133억 ▲ 4,018억 ▲ 1,393억
- 순차입금 2,499억 5,139억 5,092억 ▲ 2,592억 ▼ 47억
자본총계 17,081억 18,901억 18,834억 ▲ 1,752억 ▼ 67억

📌 주요 재무비율

항목 2024년 1Q 2024년 4Q 2025년 1Q 변화
유동비율 164% 165% 177% ▲ 13%p
자기자본비율 44% 42% 40% ▼ 4%p
부채비율 128% 137% 147% ▲ 19%p
순차입금비율 15% 27% 27% = 유지

📈 현금흐름 분석 (1Q 기준)

구분 2024년 1Q 2025년 1Q 증감
영업활동 현금흐름 +1,544억 +807억 ▼ 737억
투자활동 현금흐름 ▼210억 ▼752억 ▼ 542억
재무활동 현금흐름 ▼618억 +1,386억 ▲ 2,004억
기말 현금 6,616억 8,041억 ▲ 1,425억

💬 해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줄었지만, 투자 및 시설 확장(설비투자, R&D)으로 인한 자금 지출 증가가 원인.
반면 재무활동에서 대규모 자금 조달이 이뤄져 기말 현금은 크게 증가했어요.

 

✅ 총평

  • 단기적으론 차입이 증가하고 부채비율이 올라갔지만, 이는 수주 확대 및 설비투자에 따른 선제적 자금 조달 성격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현금성 자산이 증가했고, 유동비율도 개선, 전체적으로는 건강한 재무구조 유지 중이에요.
  • 2025년 하반기부터 수주가 실적으로 반영되면 재무 개선도 기대 가능!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초고압 직류송전 시스템 (LS일렉트릭 홈페이지 참조)

3. LS일렉트릭 수주

현대 LS일렉트릭은 수주도 잘 되고 있어요! (이게 핵심💡)

실적이 잠깐 주춤했지만, 수주는 정말 탄탄하게 잘 되고 있어요.
회사의 미래를 보는 데 중요한 포인트죠!

1. 신규 수주액은?

  • 2025년 1분기 기준 신규 수주 규모: 약 3조 9,000억 원
  •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

즉, 당장은 매출로 잡히지 않아도,
앞으로 인식될 매출이 계속 쌓이고 있다는 뜻이에요.

수주잔고(남아 있는 수주 총액)도 사상 최대 수준인
12조 4,000억 원 돌파!

2. 제품별 수주

품목 24년 말 수주잔고 25년 1Q 수주잔고 증감률
배전반 7,996억 원 1조 198억 원 +27.5% 📈
초고압변압기 1조 5,191억 원 1조 6,223억 원 +6.8%
초고압 GIS 2,126억 원 2,618억 원 +23.1%

특히 눈에 띄는 건 배전반 수주 급증!

스마트그리드, AI 데이터센터, 글로벌 친환경 인프라 확산 등에 필수인 제품이죠.

 

🇺🇸 북미 시장이 핵심이에요!

  • 2025년 1분기 기준 북미 수주 비중:
    초고압변압기와 배전반 신규 수주의 절반 이상!
  • 전력사업 내 북미 매출 비중 변화도 눈에 띄어요:
    • 2023년 1Q: 13%
    • 2024년 1Q: 17%
    • 2025년 1Q: 24%까지 확대!

미국 전력 인프라 교체 수요, 데이터센터 신설 붐,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정책 수혜까지 더해지며
북미 수주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요.

 

🔍 부가 설명: 수주라는 건 뭘 의미할까?

간단히 말해, **“미래의 확정 매출 예약”**이에요.
계약만 체결됐고 아직 매출로 잡히진 않았지만,
생산하고 납품하면 바로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

그래서 수주가 많다는 건 미래에 매출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

✅ 한 줄 요약

"실적은 잠깐 주춤해도, 수주는 역대급!"
"북미 중심으로 글로벌 수요 빨아들이는 중!"

이런 트렌드가 계속된다면,
2025년 2분기 이후 실적 반등도 충분히 기대할 수 있어요.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배선 시스템 (ls 일렉트릭 참조)

4. 시장 전망 및 향후 전략

실적 그 이상을 말해주는 '미래 전략' 정리! 이번 실적 발표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 중 하나는 단연코 “향후 전략”입니다.
단기 실적은 다소 주춤했지만, 중장기 성장을 위한 준비는 어마어마하게 진행되고 있었어요.

한 마디로 요약하면?

변압기·배전기기 CAPA 증설 + 북미 시장 확대 + AI 전력 수요 대응 = 2030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리더 GO!

그럼 하나씩 자세히 볼까요?

1. 초고압 변압기 생산 능력(CAPA) 확대

변압기 수요가 글로벌하게 폭증 중입니다.

특히 미국 중심의 노후 전력망 교체, AI 데이터센터, 재생에너지 확산이 주된 이유예요.

LS ELECTRIC은 여기에 선제적으로 대응 중입니다.

✅ 주요 투자 계획

항목 내용
부산 공장 증설 1,008억 원 투자 / 2025년 9월 완공 예정
KOC전기 인수 592억 원 / 초고압 변압기 생산능력 확대 (51% 지분 확보)
향후 연간 CAPA 기존 5,000억 원 + 추가 3,000억 원 = 총 8,000억 원 규모

📌 변압기 수주잔고도 급증
2024년 1Q: 2.6조 → 2024년 말: 3.4조 → 2025년 1Q: 3.9조 원

수주 기반의 증설이기 때문에, 매출로 이어질 가능성도 매우 높아요!

2. 배전기기 글로벌 점유율 확대

LS ELECTRIC은 단순히 수출만 하는 게 아니라, 현지화 전략으로 판로를 넓히고 있어요. (북미 중심)

전략 요약

  • UL 인증 기반 북미 진출 (→ 해외 고객 설계에 바로 채택 가능)
  • 국내 대형 고객사와 해외 동반 진출
  • 현지 유통망 확대: 북미 대형 유통사와 직접 계약

배전기기 북미 수주 비중도 점점 증가 중입니다.
전력기기, 배전반 등 미국향 수주 비중이 50% 넘는 제품도 생겼어요!

3. AI·IDC(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대응

이건 진짜 주목해야 할 미래 먹거리입니다.

왜 중요할까?

  • AI, 클라우드 확산 → 데이터센터 증가
  • 데이터센터는 어마어마한 전력을 쓰는 시설이에요!
  • 전력 인프라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죠.

4. 시장 전망

항목 2024 2032 CAGR
AI 시장 449억 달러 2,620억 달러 +25%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시장 2,427억 달러 5,839억 달러 +12%
LS ELECTRIC이 잘하는 이유?
  • 국내 데이터센터 배전 시장 점유율 70% (거의 독점급!)
  • 이미 네이버, LG유플러스, 카카오 등 주요 프로젝트 경험 多
  • 이런 레퍼런스 기반으로 해외 빅테크 수주도 준비 중

2030년까지의 큰 그림은?

목표 내용
해외 매출 비중 확대 2024년 30% → 2030년 50% 이상
해외 전체 매출 목표 약 10조 원 이상 (2030년)
CAGR 목표 (북미) 연평균 성장률 51% (’20~’25 예상)

“전력은 본업, 자동화는 확장, AI·북미는 미래다!”

 

📌 LS일렉트릭 실적 발표 분석을 통한 마무리한 줄
LS ELECTRIC은 흔들림 없는 본업과 공격적인 글로벌 확장 전략으로, 단기 실적을 넘어 미래 성장성을 증명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지금보다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스마트 에너지 리더, 눈여겨볼 만하죠.

 

감사합니다.

 

본 글은 투자 유도를 위한 글이 아니므로, 투자자들은 본인의 투자 성향과 위험 감내도를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기 바랍니다.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목표 주가, 실적발표, 배당금 총정리)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 (+목표 주가, 실적발표, 배당금 총정리)

오늘은 2025년 좋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HD현대일렉트릭 주가 전망부터 배당금, 실적발표, 수주현황, 시장상황, 성과금, 리스크, 사업영역, 투자 포인트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vagabonder.tistory.com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LS일렉트릭 실적발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