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2025년 1분기 실적 총 정리)

by 방랑경제투어 2025. 4. 30.

2025년 4월 30일 1분기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가 나왔는데요, 전통적인 주력 사업인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이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인 반면, 지주사 자체 사업과 전자 BG의 성장세가 돋보이며 기업의 체질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1분기 실적은 계열사들의 실적 부진 속에서도 일부 사업 부문의 선전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 및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을 핵심만 정리해 드리고, 각 부문별 분석을 통해 향후 전망까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이러한 발표로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연일 상승세를 이어오다가, 오늘은 전일 대비 대동소이한 상태로 마감하였습니다.

 

*아래의 이미지 클릭 시, 현재 주가를 자세히 보실 수 있어요.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에 대한 내용은 제가 아래의 포스팅에 자세히 설명해 놓았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보기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1. 두산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실적 (2025년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조 2,987억 원 -3.7% 감소
영업이익 1,985억 원 -42.9% 감소

 

  • 주요 계열사인 두산에너빌리티두산밥캣의 실적 부진이 전체 실적 하락의 원인
  • 다만, 두산 자체사업은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루며 그룹 전체 수익성 방어에 기여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소형 모듈 원전 SMR 및 가스터빈

2.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요약 (2025년 1분기)

아래는 두산에너빌리티의 2025년 1분기 실적을 표 형식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분 2025년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비고
에너빌리티 부문 매출 2조 2,420억 원 +14% 프로젝트 증가 영향
에너빌리티 영업이익 550억 원 -48% 일시적 비용 반영, 수익성 하락
에너빌리티 영업이익률 2.5% 수익성 일시 감소
연결 기준 매출 4조 1,140억 원 +15% 전 계열 포함
연결 기준 영업이익 1,370억 원 -6% 전체 수익성 하락
연결 기준 순이익 630억 원 +40% 이자비용 감소 등 영향
1분기 수주 실적 3조 5,000억 원 +63% 사우디/국내 프로젝트 포함
연간 수주 목표 14조 8,000억 원 - 진행률 양호
수주 잔고 42조 5,000억 원 역대 최대 안정적 매출 기반 확보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자료는 아래의 이미지 클릭 시 웹사이트 혹은 첨부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면 자세히 보실 수 있어요.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두산 에너빌리티 참조
두산에너빌리티_'25년1분기실적자료_vF.pdf
2.33MB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감소

두산에너빌리티 2025년 1분기 실적 감소는 과거 대형 프로젝트 종료에 따라 감소된 여파이며, 2분기부터는 수익성 높은 원자력, 가스터빈 사업부문의 비중이 늘어나며 개선될 것으로 예상돼요.

매출 3조 7,486억 원 -8.5%
영업이익 1,425억 원 -60.2%

왜 영업이익이 줄었나요?

  • 과거에 계약한 이윤이 낮은 EPC 프로젝트(설계·조달·시공)가 마무리되었기 때문이에요.
  • 초기 단계의 수익성 낮은 프로젝트 매출이 먼저 잡히면서, 전체 이익률이 떨어졌습니다.
  • ESG 대응, 인력 보강, 연구개발 투자 등 비용이 일시적으로 많이 들어간 것도 원인입니다.
  • 석탄화력, 담수화 플랜트 등 수익성이 낮은 프로젝트 중심

💡 전망: 2분기부터는 고수익 사업 비중 확대에 따라 실적 개선 기대

  • 수익성 높은 원자력·가스터빈 부문의 수주 비중이 늘어나는 중
  • 1분기 수주액: 1조 7,208억 원
  • 수주잔고: 16조 1,492억 원 (전년 대비 1조 원 증가)

🔹 에너빌리티 부문 경영 실적 (2025년 1분기)

  • 매출: 약 2조 2,42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
  • 영업이익: 약 55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
  • 영업이익률: 2.5%

📉 영업이익 감소 요인

  • 프로젝트 초기단계 비중 증가로 인한 수익성 저하
  • 전력서비스, 친환경 사업의 일시적 비용 반영

🔮 전망

  • 2분기부터 수익성 회복 기대 (매출이익률 개선 프로젝트 증가, 고마진 사업 매출 확대 등)

🔹 연결 기준 경영 실적

  • 연결 매출: 약 4조 1,14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
  • 연결 영업이익: 1,37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
  • 연결 순이익: 630억 원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

 

  • 전반적으로 부진한 실적이지만, 수익성이 낮은 과거 프로젝트가 종료되면서 발생한 일시적 감소입니다.
  • 2분기부터는 원자력, 가스터빈, 수소 분야처럼 이익률 높은 사업 비중이 늘어나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 두산에너빌리티 수주 실적 및 연간 전망

📌 1분기 수주 실적

  • 총 수주: 1조 7,208억 원
  • 주요 내용:
    • 중동 지역 대형 가스발전소 프로젝트 수주
    • 향후에도 사우디, UAE 등에서의 지속적 수주 가능성

📌 수주 잔고

  • 총액: 16조 1,492억 원 (전년 대비 +1조 원)
  • 의미: 앞으로 이 정도 매출이 확보된 상태라는 뜻으로, 사업 안정성이 높다는 지표입니다.

📌 연간 수주 전망

  • 고수익 원전, 가스터빈, 수소 플랜트 등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어 하반기 실적 반등이 기대됩니다.

🔹 2025년 및 중기 가이던스

구분 전략 내용
수소 청정수소 생산, 암모니아 수입터미널 등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확대
원자력 국내 및 해외 SMR(소형모듈원전) 시장 공략, 노후 원전 교체
가스터빈 국산화 100%, 발전용 수출 강화
풍력 해상풍력 터빈 개발 및 조달 확대
EPC 역량 강화 원전 및 친환경 인프라 중심으로 설계~시공 전 과정의 경쟁력 확보
  • 2025년 매출 목표: 18.2조 원
  • 2025년 영업이익 목표: 1.3조 원
  • 중장기 전략 방향:
    •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개선
    • 친환경 및 신사업 매출 비중 확대

💡 핵심 포인트: 단순히 설비를 파는 것이 아니라, 친환경·신재생 중심 포트폴리오로 재편하면서 장기 성장을 준비 중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3. 두산밥캣 실적

구분 실적 (연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2조 982억 원 -12.4%
영업이익 2,000억 원 -38.6%
  • 경기 불확실성 및 전년도 높은 실적에 따른 기저효과
  •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매출 소폭 감소
  • 물류비 절감, 판가 인상으로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11%

💡 포인트: 작년 3분기를 저점으로 영업이익 2분기 연속 상승세

 

㈜두산 자체사업, 전자 BG 중심으로 '질적 성장'

구분 실적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850억 원 +83%
영업이익 1,211억 원 +386%
  • 전자BG 중심의 성장
    • AI 가속기, 800G 통신장비용 하이엔드 동박적층판(CCL) 수요 급증
    • 분기 사상 최대 매출: 4,029억 원 달성
  • 두산은 2분기에도 전자BG 성장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
해수 담수화 플랜트

종합 분석 및 향후 전망

이번 2025년 1분기 두산그룹 및 두산에너빌리티 실적 발표를 통해 볼 수 있듯, 두산그룹은 전통적인 EPC 중심 산업의 구조적 한계를 점차 벗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전자 BG와 같은 첨단소재, 수소·가스터빈 등 고수익 에너지 분야로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시그널입니다.

📈 주목할 만한 포인트

  • 두산에너빌리티: 수익성 낮은 프로젝트 종료 → 고수익 성장사업으로 전환
  • 두산밥캣: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효율적 비용 구조로 버팀
  • ㈜두산 자체사업: 전자BG 실적이 그룹 전체의 구조적 전환 가능성 보여줌

2025년 1분기 두산그룹 및 두산에너빌리티 실적은 단기적으로는 주력 계열사의 부진으로 아쉬움을 남겼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전자BG와 고부가 에너지 사업을 중심으로 재도약을 준비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두산에너빌리티의 원전 및 수소, 가스터빈 분야의 성장성은 앞으로의 실적 반등을 이끌 주요 동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의 체질 개선과 포트폴리오 전환에 성공한다면, 앞으로의 두산은 더 강해질 수 있습니다.

 

 

 

원전 관련 대장주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트럼프 수혜, 원전 수주는?)

최근 원전 관련주들의 성장이 심상치 않은데요, 특히 원전 관련 대장주인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이 밝은 이유 중 하나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원자력 발전이 다시 한번 글로벌 에너지 시

vagabonder.tistory.com

 

 

원전 관련주 및 대장주 주가 전망(트럼프 수혜는?)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이 전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원자력 발전이 다시 주목받으며, 원전 관련주 및 대장주가 떠오르고 있는데요, 특히 2025년은 글로벌 원전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는

vagabond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