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을 이용하다 보면 요금이 쌓여 부담스러운 순간이 있죠. 그런데 이제 K패스(K Pass)가 있다면, 그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요금을 환급해 주는 복지서비스로, 지하철, 버스, 택시 등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대중교통 요금 때문에 지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럼 K패스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을 함꼐 알아볼까요~?
1. K패스(K Pass)란?
월 15회 이상 시내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하면 다음 달 대중교통비의 20∼53%를 돌려받을 수 있는 복지 교통카드입니다. 따라서 대중교통 월 15 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에 필요한 예산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분담해요. K패스는 도보·자전거 이동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환급받는 방식인 광역 알뜰 교통카드를 개편하여 확대한 사업이에요. 이렇기 때문에 기존 알뜰 교통카드 사용자는 별도로 카드 재발급이 필요 없이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K패스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답니다. 환급은 마일리지, 카드공제, 현금 등의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2. K패스(K Pass)의 혜택은?
K패스로 15회 이상 대의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적립됩니다.
- 일반 : 20% 환급금액 적립
- 청년 : 만19~34세의 청년층은 환급금액 30% 적립
- 저소득층(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환급금액 53.3% 적립
이에 따라 일반 이용자는 월60회 이용 시 월 최대 18,000원, 연 최대 216,000원까지 적립되며 청년층은 월 최대 27,000원, 연 최대 324,000원까지 적립됩니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은 월 최대 48,000원, 연 최대 576,000원 까지 적립됩니다.
3. 언제부터 시행하나요?
정부는 24년 7월부터 K패스 (K Pass)를 시행할 계획이었지만, 지난해 국회에서 관련 예산을 일부 증액됨에 따라 2개월 앞당겨진 2024.5월부터 시행됩니다. 그전(24년. 4월)까지는 기존에 운영 중인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지속됩니다.
4. 신청 및 사용방법
- 1. 알뜰교통카드 : 기존에 알뜰 교통카드 이용하고 있는 분들은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K패스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요. 정부는 오는 2월부터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회원 전환 절차를 공지한다고 해요.
- 2. 신규이용자 : 알뜰 교통카드를 사용한 적 없는 신규 이용자라면 5월부터 공식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앱에서 카드를 신청할 수 있어요.
누리집을 통해 11개의 카드사(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비씨, 국민, 농협, 티머니, 이동의즐거움, 디지비유페이)의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서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답니다. 또한 국토부는 일반 시내버스와 지하철 이외에도 고비용의 교통수단인 광역버스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노선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5. K패스와 알뜰교통카드 차이
K패스(K Pass)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이동거리 기준의 적립 방식을 없애고,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정률계층별 (20~53%) 적립 방식으로 개편되었습니다.
6. 이용가능지역
알뜰교통카드와 K패스의 참여와 미참여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마치며
K패스는 지하철,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유용하며, 5월부터 공식 누리집(korea-pass.kr)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서비스는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민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걸로 예상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일정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서민들의 요금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그럼 모두들 다가올 K Pass를 이용해 보세요!
'복지,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임대주택 종류 및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1) | 2024.05.16 |
---|---|
덴마크 복지 제도 어떻게 가능할까? 덴마크의 복지에 대해서 (0) | 2024.03.20 |
청년드림주택청약 우리은행 모바일 가입 쉽게 따라하기~! (0) | 2024.03.10 |
국토부 2/21 청년들 위한 내집마련 정책 '청년주택드림청약' 시행 (0) | 2024.03.09 |
2024 영유아 보육료, 유아학비, 양육수당 등 보육서비스 신청방법 (0) | 2024.02.12 |